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 상반기 히트상품] 올림픽·아시안게임 수행 우수성 알려 - 2023.06.22

CLOIT Story/Business Talk

by CLOIT Blog 2024. 1. 19. 15:10

본문

GMS SaaS 포털 화면 클로잇 제공

기사 원문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062302101831650004

 

www.dt.co.kr

클로잇의 스포츠 솔루션은 글로벌 메이저대회 운영을 위한 종합정보시스템으로, 대회관리(GMS), 경기운영(GRS), 결과배포(RDS), 기록계측&채점(T&S) 모듈과 시스템통합 서비스로 구성돼 있다.

클로잇의 스포츠사업은 다수의 올림픽, 아시안게임 수주 등 세계 톱3의 글로벌 메이저대회 수행실적을 보유한 쌍용정보통신에서 지난해 분할했다. 이 회사는 현재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파리올림픽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클로잇의 대회관리시스템인 'GMS'는 88서울올림픽 때 SOMS(Seoul Olympic Management System)라는 이름으로 개발돼 국제 스포츠 무대 최초로 대한민국 전산의 우수성을 알린 역사적인 시스템이다. 이후 카타르, 카자흐스탄, 인천, 인도네시아 등의 11차례의 아시안게임에 적용됐다. 평창올림픽 때는 31개 GMS 세부 시스템을 구축하고 조직위원회에 후원사업으로 제공했다.

클로잇 GMS는 그동안 수많은 글로벌 메이저 이벤트에서 조직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는 매뉴얼처럼 제공됐고, 대회 경험이 부족한 각 업무부서의 다양한 사용자가 이를 기반으로 각 개최국의 문화적인 특성과 각자의 업무에 맞는 요구사항을 도출하면 최적화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업무별 부서와 담당자를 각각 배정하기 어려운 중소형 대회에서는 시스템을 쓰지 못하고 대부분 수기로 운영해 왔다.

이에 클로잇은 전세계 지역 종합대회, 스포츠연맹이 주관하는 월드컵대회, 선수권대회 등 중소형 이벤트까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GMS를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화하기로 했다. 작년부터 SaaS화를 기획해 현재 MVP모델 구현 완료 단계다.

 
 


GMS SaaS MVP는 등록, 엔트리, 숙박, 출·도착 등 조직위원회 각 부서의 업무 절차가 반영된 기존 GMS를 중소형 종합대회 및 단일종목 대회에 적합하게 핵심기능 위주로 재설계했다. 클로잇이 판매중인 로코드 플랫폼인 WEM을 이용해 개발했다. 개발이 완료된 MVP는 전 세계 파트너들과 세계 스포츠연맹 및 조직위원회에 배포하고 피드백을 받아 연내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GMS SaaS는 대회 업무를 잘 모르는 관계자도 손쉽게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핵심 업무기능 중심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편의성과 직관성을 강화해 모바일과 웹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 대회 관계자들이 복잡한 업무절차를 잘 몰라도 손쉽게 업무를 하도록 직관적으로 재설계 하고, 핵심 업무 기능을 중심으로 편의성을 강화했다.

저렴한 구독 서비스 비용을 책정하고, 로코드의 신속한 개발과 저렴한 유지보수 비용을 강점으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신속하게 반영해 맞춤개발이 필요 없도록 만들 예정이다.

클로잇 관계자는 "35년간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를 통해 쌓아온 독보적인 대회 관리업무 노하우와 최신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적용된 명품 SaaS를 통해 스포츠 클라우드 IT서비스 분야 글로벌 리딩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글 더보기